맨위로가기

UGM-27 폴라리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UGM-27 폴라리스는 1950년대 후반 미국이 소련의 핵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한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SLBM)이다. 고체 연료 로켓을 사용하여 잠수함에서 발사 가능하도록 설계되었으며, 핵 억지력 강화에 기여했다. 1960년 최초 발사에 성공했으며, A1, A2, A3 등 여러 개량형이 개발되었다. 폴라리스는 관성 항법 시스템, 다탄두 재돌입 기술 등 미사일 기술 발전에 기여했으며, 영국과 이탈리아에도 도입되었다. 1970년대부터 포세이돈 미사일로 대체되었고, 이후 트라이던트 미사일로 완전히 교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 - 트라이던트 (미사일)
    트라이던트는 미국 해군이 개발한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로, 트라이던트 I (C4)은 1979년 실전 배치 후 2005년 퇴역, 트라이던트 II (D5)는 1990년 배치되어 현재까지 오하이오급 및 뱅가드급 잠수함에 탑재되어 핵 억지력에 기여한다.
  • 미국의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 - UGM-133 트라이던트 II
    UGM-133 트라이던트 II는 록히드 마틴에서 제작하여 1990년에 실전 배치된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로, 탄소섬유 3단 로켓으로 구성되어 트라이던트 I보다 향상된 탄두 탑재 능력과 정확도를 제공하며, 미국과 영국의 핵 억지력 유지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 록히드 - 허블 우주망원경
    허블 우주망원경은 지구 대기의 영향을 받지 않는 선명한 우주 관측을 목표로 1990년 발사된 천문 관측 장비로, 서비스 미션을 통해 성능이 향상되었으며 현재까지도 우주를 관측하며 과학적 발견을 이루고 있고, 궤도 붕괴에 따른 추락 위험 방지를 위해 제어된 재진입 계획이 수립되어 있다.
  • 록히드 - 코로나 (위성)
    코로나(CORONA)는 1950년대 후반부터 1972년까지 미국이 소련 군사력 감시를 위해 운용했던 위성 정찰 프로그램이며, 필름을 지구로 반환하여 고해상도 사진을 촬영하고 기밀 해제 후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었다.
  •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 연구소 - W70
    W70은 1970년대 초 미국에서 개발된 전술 핵탄두로, 가변적인 핵출력을 가지거나 방사선 강화형으로 개발되었으며, 냉전 종식 후 폐기되었다.
  •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 연구소 -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연구소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연구소는 1952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 의해 설립되어 미국 에너지부의 지원을 받아 국가핵안보국 산하에서 핵무기 설계 및 관리, 글로벌 안보, 에너지 및 환경 문제 등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하는 미국의 국립 연구소이다.
UGM-27 폴라리스
미사일 정보
폴라리스 A3 (A3X-01),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의 LC-29A 발사대에서 시험 비행 전,
종류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
원산지미국
사용1961–1996
사용자미국 해군, 영국 해군
제작사록히드 코퍼레이션
설계 시기1956–1960
파생형A-1, A-2, A-3, 셰발린
폴라리스 A-3 (UGM-27C) 제원
탄두W47, 3 × W58 열핵무기
폭발력3 × 200 kt
엔진1단: 에어로젯 제너럴 고체 연료 로켓
엔진2단: 허큘리스 로켓
유도 방식관성
조종추력 편향
추진체고체 추진제
정확도CEP
발사 플랫폼탄도 미사일 잠수함
탑재 함급

2. 역사

1950년대 중후반, 소련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 개발과 스푸트니크 발사 성공은 미국에 큰 충격을 주었다.[8] 미국은 핵 억지력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했고, 그 일환으로 잠수함에서 발사 가능한 탄도 미사일 개발에 착수했다. 초기에는 미국 육군주피터 중거리 탄도 미사일을 기반으로 한 잠수함 발사 미사일 개발이 고려되었다.[2][3] 그러나 미국 해군은 액체 연료 로켓의 위험성과 크기 문제로 인해 고체 연료 로켓을 사용하는 독자적인 미사일 개발을 추진했다. 1955년 말, 해군 작전 참모장 알레이 버크 제독은 해군을 위한 주피터 개발을 위해 W. F. "레드" 레이번 소장을 특별 프로젝트 사무소의 수장으로 임명했다.[2][3]

해군은 액체 연료 IRBM에 깊이 불만을 품었다.[15] 극저온 액체 연료는 취급하기 매우 위험할 뿐만 아니라 발사 준비에도 시간이 오래 걸렸다.[15] 또한 액체 연료 로켓은 초기 가속도가 비교적 낮아 특정 해상 상태에서 이동하는 플랫폼에서 미사일을 발사하는데 불리하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15]

1956년 프로젝트 놉스카 회의에서 에드워드 텔러는 소형 핵탄두 개발 가능성을 제시하면서 폴라리스 미사일 개발이 본격화되었다.[2][3] 텔러는 5년 이내에 1메가톤 위력의 경량 탄두를 개발하겠다고 제안했다.[12] 텔러의 제안은 버크로 하여금 그해 12월 주피터 프로그램을 떠나 폴라리스에 집중하도록 했다.[2][3]

1960년 7월 20일 잠수함에서 최초의 폴라리스 발사에 대한 유니버설 인터내셔널 뉴스릴


폴라리스 프로그램은 1956년에 개발을 시작했다.[35] 폴라리스의 개발은 엄격한 일정으로 진행되었으며, 1957년 10월 4일 소련의 스푸트니크 발사로 인해 개발 속도를 높이려는 움직임이 있었다.[8]

최초의 미국 미사일 잠수함인 는 1960년 7월 20일 잠수함에서 최초의 폴라리스 미사일을 성공적으로 발사했다.[35]

2. 1. 개발 배경

1950년대 중후반, 소련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 개발과 스푸트니크 발사 성공은 미국에 큰 충격을 주었다.[8] 미국은 핵 억지력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했고, 그 일환으로 잠수함에서 발사 가능한 탄도 미사일 개발에 착수했다. 초기에는 미국 육군주피터 중거리 탄도 미사일을 기반으로 한 잠수함 발사 미사일 개발이 고려되었다.[2][3] 그러나 미국 해군은 액체 연료 로켓의 위험성과 크기 문제로 인해 고체 연료 로켓을 사용하는 독자적인 미사일 개발을 추진했다. 1955년 말, 해군 작전 참모장 알레이 버크 제독은 해군을 위한 주피터 개발을 위해 W. F. "레드" 레이번 소장을 특별 프로젝트 사무소의 수장으로 임명했다.[2][3]

해군은 액체 연료 IRBM에 깊이 불만을 품었다.[15] 극저온 액체 연료는 취급하기 매우 위험할 뿐만 아니라 발사 준비에도 시간이 오래 걸렸다.[15] 또한 액체 연료 로켓은 초기 가속도가 비교적 낮아 특정 해상 상태에서 이동하는 플랫폼에서 미사일을 발사하는데 불리하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15]

1956년 프로젝트 놉스카 회의에서 에드워드 텔러는 소형 핵탄두 개발 가능성을 제시하면서 폴라리스 미사일 개발이 본격화되었다.[2][3] 텔러는 5년 이내에 1메가톤 위력의 경량 탄두를 개발하겠다고 제안했다.[12] 텔러의 제안은 버크로 하여금 그해 12월 주피터 프로그램을 떠나 폴라리스에 집중하도록 했다.[2][3]

폴라리스 프로그램은 1956년에 개발을 시작했다.[35] 폴라리스의 개발은 엄격한 일정으로 진행되었으며, 1957년 10월 4일 소련의 스푸트니크 발사로 인해 개발 속도를 높이려는 움직임이 있었다.[8]

최초의 미국 미사일 잠수함인 는 1960년 7월 20일 잠수함에서 최초의 폴라리스 미사일을 성공적으로 발사했다.[35]

2. 2. 개발 과정

폴라리스 프로젝트는 초기 잠수함 항법 시스템의 정확도 문제에 직면했다. 초기에는 MIT 계측 연구소에서 제작한 선박 관성 항법 시스템(SINS)을 사용하려 했으나,[18] 자이로스코프 기술의 한계와 지구의 변화하는 위치 및 중력장 변화를 고려하지 않아 어려움을 겪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스아메리칸 항공의 Autonetics 부서가 개발한 XN6 오토내비게이터를 도입했다. 이 시스템은 원래 Navaho 순항 미사일을 위해 설계되었지만, 잠수함에 유용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18]

GPS의 전신인 Transit 시스템(NAVSAT)은 잠수함의 정확한 위치 파악을 위해 개발되었다. 존스 홉킨스 대학교 응용 물리 연구소(APL)의 윌리엄 가이어와 조지 바이펜바흐가 1958년에 개발을 시작했다.[19] 또한, 잠수함 해치를 통과할 수 있는 소형 컴퓨터 AN/UYK-1이 개발되어 Transit 위성 데이터를 해석하고 폴라리스에 유도 정보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었다. 폴라리스는 자체 유도 컴퓨터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는 당시 매우 진보된 초소형 전자기기였다.

폴라리스는 미국 최초의 SLBM이자 핵탄두를 탑재한 전략 탄도 미사일로, 미국 해군에서는 함대 탄도 미사일(FBM)이라고 칭했다. 1955년 12월, 미국 육군과 해군은 주피터 IRBM 개발을 시작했으나, 해군은 주피터의 성능과 액체 추진제 로켓 사양에 불만을 품고 1956년부터 독자적인 폴라리스 개발을 시작했다.

록히드 사가 개발한 폴라리스는 고체 추진약을 사용한 탄도 미사일로, 1960년 1월 7일 케이프 커내버럴에서 발사 테스트에 성공했다. 탑재된 핵탄두는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 연구소에서 해럴드 브라운을 중심으로 하는 연구팀이 개발했으며, 1960년 7월에 최초의 16발의 탄두가 해군에 납품되었다. 1960년 7월 20일에는 조지 워싱턴(USS ''George Washington'', SSBN-598) 잠수함에서 최초로 발사 테스트가 진행되었다.

폴라리스 A1은 무게 13톤, 전고 8.7m, 직경 2.6m, 사정거리 1,000해리(1해리는 1,852km)였다. 1962년 5월 6일, 도미닉 I 작전에서 폴라리스 미사일은 W47 핵탄두를 탑재하고 실탄두 미사일 발사 및 핵실험이 진행되었다.

후기형인 A2, A3, B3는 사정거리 연장을 위해 로켓 모터 길이가 늘어나고 추진약이 증량되었다. A3는 다탄두 재돌입(MRV)화되었고, B3는 소련탄도탄 요격 미사일에 대응하기 위한 가 탑재되었다. 이후 B3 개발 계획은 포세이돈 C3로 발전했다.

폴라리스 미사일은 2단식 미사일이며, 노즐은 1단, 2단 모두 1개의 모터 케이스에 4개씩 장착되었다. 유도는 관성 항법 장치로 이루어졌으며, CEP은 900m였다. 폴라리스는 2차 공격(보복 공격) 무기로 사용되었다. 폴라리스는 1972년부터 포세이돈으로 교체되기 시작하여, 1980년대에는 트라이던트 I으로 대체되었다.

2. 3. 배치와 퇴역

폴라리스 미사일의 초기형인 A-1은 1960년 USS 조지 워싱턴 (SSBN-598) 핵잠수함에 최초로 실전 배치되었다.[22] 1966년까지 40척의 폴라리스 핵잠수함이 배치되었으며, 이들은 모두 16기의 미사일을 탑재했다.[22] 폴라리스 A-1은 사거리 1,900km, 1개의 Mk 1 재진입장치에 1개의 W47-Y1 600kt 수소폭탄을 탑재했다.[22]

폴라리스 A2


이후 개량형인 A-2, A-3가 개발되어 배치되었다. 폴라리스 A-3는 사거리가 4,600km로 연장되었으며, 3개의 Mk 2 재진입 탄두와 200kt의 위력을 가진 새로운 W-58 핵탄두를 갖추었다.[21] 3개의 탄두는 단일 목표 위에서 "산탄총"과 같은 패턴으로 퍼져 있었으며, 독립적으로 목표를 지정할 수 없었다.[21] A-3를 장착한 최초의 폴라리스 잠수함은 1964년 USS ''다니엘 웹스터''였다.[21]

비교폴라리스 A-1폴라리스 A-2폴라리스 A-3
무게13 톤14.7 톤15.87 톤
길이8.69 m9.45 m9.45 m
직경1.37 m1.37 m1.67 m
사거리2200 km2800 km4600 km
탄두중량500 kg500 kg760 kg
MIRV1x 600 Kt1x 600 Kt3x 200 Kt



폴라리스 A-1~A-3, 포세이돈


미국 해군은 1972년부터 폴라리스 미사일을 포세이돈 미사일로 대체하기 시작했으며, 1980년대에는 트라이던트 미사일로 완전히 대체되었다.[24] 2002년, 미국 해군은 잠수함과 D5 미사일(트라이던트 II)의 수명을 2040년까지 연장할 계획을 발표했다.[25]

2. 4. 영국과 이탈리아

영국은 1962년 나소 협정에 따라 미국으로부터 폴라리스 미사일을 도입하여 운용했다.[29] 이 협정은 해롤드 맥밀란과 존 F. 케네디의 회담에서 비롯되었으며, 미국은 영국에 폴라리스 미사일, 발사관, ReB, 사격 통제 시스템을 제공하고 영국은 자체 핵탄두를 제조하기로 했다.[29] 폴라리스 판매 계약은 1963년 4월 6일에 체결되었다.[29]

영국은 폴라리스 미사일의 표적 지정을 SACEUR (유럽 연합군 최고 사령관)에게 할당하는 데 동의했지만, NATO 동맹국의 지원을 받지 못하는 국가 비상사태에서는 해당 폴라리스 미사일의 표적 지정, 발사 허가, 발사는 영국의 국가 당국에 귀속된다는 조항을 두었다.[29] 영국 핵무기 사용에는 항상 영국 총리의 동의가 필요하다.[40]

폴라리스는 영국 해군의 평시 역사상 가장 큰 프로젝트였다.[40] 1968년 2월 15일, (동급의 선도함)은 폴라리스를 발사한 최초의 영국 함선이 되었다.[27] 영국 해군 SSBN은 파슬레인에 배치되었으며, 홀리 로흐에서 불과 몇 마일 떨어져 있다.[41]

영국은 탄도 미사일 방어(ABM)를 돌파하기 위해 ''슈발린''(Chevaline) 프로그램을 통해 폴라리스 미사일을 개량했다.[28][29] 이 시스템은 1982년 중반 에서 가동되었으며, 1996년에 퇴역했다.[30]

영국은 포세이돈 대신 트라이던트로 핵 미사일을 업그레이드했다.[42]

런던제국 전쟁 박물관에서 전시되어 있는, 영국 해군용 폴라리스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폴라리스 미사일의 훈련탄


이탈리아는 폴라리스 미사일 도입을 검토하고 시험 발사까지 진행했으나, 핵확산 금지 조약 비준으로 인해 실전 배치하지 않았다.[33] 1957년부터 1961년까지의 개조 프로그램 동안, 는 선미 부분에 4개의 폴라리스 미사일 발사기를 장착했다.[32] 1961년부터 1962년까지 성공적인 실험을 통해 미국은 NATO 다자 핵군(MLF)을 연구하게 되었고,[31] 이는 유럽 동맹국들이 NATO 핵 억지력 관리에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32] 쿠바 미사일 위기 이후 아민토레 판파니는 케네디의 폴라리스 계획에 동의했다.[32]

3. 기술적 특징

3. 1. 제원 (A-3 기준)



UGM-27C 폴라리스 A-3는 무게 16.2톤, 길이 9.45m, 직경 1.37m이며, 사거리는 약 4,630km이다.[35] 1단 로켓 모터는 에어로제트사가, 2단 로켓 모터는 허큘리스 파우더사가 제조했다.[35]

1단과 2단 모두 모터 케이스에 석영 유리/에폭시 수지·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채용했다.[35] 1단 고체 추진제로는 A-1, A-2형 1단과 같은 폴리우레탄계 복합 추진제를 사용했다. 2단 고체 추진제로는 니트로셀룰로스에 휘발성용제와 가소제를 섞어 만든 열가소성 수지를 슬러리화한 것을 바인더 겸 연료 겸 산화제로 사용하고, 산화제로 과염소산암모늄 결정, 금속 연료로 알루미늄 분말, 비추력 향상을 위해 니트라민 화합물 HMX를 혼합하여 모터 케이스에 주입하여 캐스팅했다.[35]

비행 제어 방식은 1단에 가동 노즐 방식, 2단에 노즐 내 2차 분사 방식을 채용했다.[35] 탄두는 핵출력 200kt의 W58 핵탄두를 탑재한 Mk.2형 RV 3기를 갖춘 다탄두 미사일(MRV)이었다. 3개의 탄두는 단일 목표물 상공에 "산탄총"과 같은 패턴으로 퍼져, 각각 1메가톤 탄두와 동일한 파괴력을 가졌다.[21] 이 탄두는 개별적으로 목표를 지정할 수 없었다. (MIRV 미사일과 비교)

3. 2. 유도 방식

폴라리스 미사일은 관성 항법 시스템을 사용하여 목표물을 타격한다.[18] 초기에는 MIT 계측 연구소에서 제작한 선박 관성 항법 시스템(SINS)을 사용하였으나, 이는 잠수함의 움직임과 지구의 변화하는 위치를 고려하지 않아 정확도에 문제가 있었다.[18]

이에 노스아메리칸 항공의 Autonetics 부서가 개발한 XN6 오토내비게이터를 도입하였다. XN6는 원래 Navaho 순항 미사일을 위해 설계되었으나, 잠수함에 유용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18]

GPS 위성 항법 시스템의 전신인 Transit 시스템 (이후 NAVSAT이라고 불림)이 개발되면서, 잠수함은 발사 시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여 미사일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었다.[19] 존스 홉킨스 대학교 응용 물리 연구소는 AN/UYK-1 컴퓨터를 개발하여 Transit 위성 데이터를 해석하고 폴라리스에 유도 정보를 전송했다.[19]

선박 관성 항법 시스템 (SINS)은 LORAN과 같은 다른 방법을 통해 위치를 수정하는 사이의 잠수함 위치에 대한 지속적인 추측 항법 업데이트를 제공했다.[19] 1965년까지 미니트맨 II용으로 제작된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장치와 유사한 마이크로칩이 폴라리스용으로 구매되었으며, 웨스팅하우스RCA와 공유되었다.[20]

3. 3. 탄두

폴라리스 미사일은 초기 모델에는 W47-Y1 핵탄두(핵출력 600kt)를 탑재한 Mk.1형 재진입체(RV)를 1기 갖춘 단탄두 미사일이었다.[37][35][38] 폴라리스 A-2는 W47-Y2 핵탄두(핵출력 800kt)를 탑재한 Mk.1형 RV를 1기 갖추었다. 이후 개량된 A-3 모델은 사거리가 2,500해리(4,630km)로 연장되었고, 3개의 Mk.2 재진입 탄두(ReB)를 수용하는 새로운 무기 격실과 200kt의 위력을 가진 새로운 W58 핵탄두를 탑재했다.[21] 이 탄두들은 단일 목표물에 "산탄총"과 같은 패턴으로 퍼지도록 설계되었으며, MIRV와는 달리 개별 목표 지정은 불가능했다.[21] 3개의 탄두는 목표물에 퍼져 1메가톤 탄두와 동일한 파괴력을 가졌다.[21] 이러한 다탄두 재돌입체(MRV) 방식은 "클러스터 탄두"로도 불렸다.[21] 1964년 USS ''다니엘 웹스터''에 처음으로 MRV A-3가 장착되었다.[21] 이후 폴라리스 A-3 미사일은 핵 전자기 펄스로부터 전자 장치를 보호하기 위해 부분적인 경화 처리가 이루어졌고, 이는 A-3T("톱시")로 불렸다.[21]

4. 북한판 폴라리스 (북극성)

북한은 폴라리스 미사일을 모방하여 북극성 1호와 북극성 3호 등 '북극성' 계열의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을 개발하고 있다. KN-11은 북한판 폴라리스로 볼 수 있는데, 이는 소련의 R-27을 모방한 것이다. 1960년대부터 1980년대 말까지, 미국 해군은 폴라리스 A1, A2, A3를 사용했고, 이에 대응해 소련 해군은 R-21, R-27을 사용했다.

5. 영향 및 평가

5. 1. 전략적 의의

폴라리스 A1은 유럽에 배치된 중거리 핵 전력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유럽에 배치된 핵 전력은 소련의 중요한 목표를 공격할 수 있는 사거리가 부족했기 때문에 폴라리스 개발을 통해 핵 억제 수준을 강화하려 했다. 탄도 미사일 잠수함은 잠입한 채로 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잠수함의 생존성을 더욱 높일 수 있었다.

미국 해군은 폴라리스 잠수함을 영국과 스페인에 전방 배치했으며, 양국은 스코틀랜드의 홀리 로크, 그리고 로타 기지 사용을 허가하여 이동 시간을 절약할 수 있었다. 폴라리스는 경화 목표물을 파괴할 만큼 충분한 정밀도를 갖추지 못했지만, 당국은 폴라리스를 "핵의 3대 축" 중 하나로 간주했다.

5. 2. 기술 발전 기여

폴라리스 미사일 개발 과정에서 축적된 기술은 이후 포세이돈, 트라이던트 미사일 개발에 활용되었으며,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 기술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24] 특히, 관성 항법 시스템, 고체 연료 로켓, 소형 핵탄두 기술 등은 폴라리스 미사일 개발을 통해 크게 발전했다.

록히드 설계자들은 더 먼 거리에서 더 높은 정확도를 달성하기 위해 재진입체 개념, 개선된 유도 장치, 사격 통제 장치 및 항법 시스템을 개발했다. 폴라리스 A3는 초기 모델에 비해 추진제 및 연소실 건설 재료 등 많은 개선을 통해 성능이 크게 향상되었다.[25] 후기 버전(A-2, A-3, B-3)은 A-1보다 크고 무거웠으며 사거리가 더 길었다. A-3는 여러 탄두를 하나의 목표물에 분산시키는 MRV를 특징으로 했고, B-3는 소련탄도탄 요격 미사일 방어를 무력화하기 위한 침투 보조 장치를 갖출 예정이었다.

미국 해군은 1972년에 폴라리스를 포세이돈으로 교체하기 시작했다. B-3 미사일은 C-3 포세이돈 미사일로 발전했으며, 더 큰 투사 중량을 활용하여 새로운 경화된 고속 재진입체를 더 많이 탑재했다. 이후 포세이돈과 트라이던트 미사일이 개발되었다. 제안된 잠수함 장거리 미사일 시스템(ULMS) 프로그램은 기존 포세이돈 미사일의 두 배 사거리를 달성할 ULMS II 미사일 개발을 제안했다. 1972년 5월, ULMS II라는 용어는 트라이던트로 대체되었다. 트라이던트는 6,000마일 이상의 사거리를 가진 더 크고 성능이 향상된 미사일이었다.

2002년, 미국 해군은 잠수함과 D5 미사일의 수명을 2040년까지 연장할 계획을 발표했다. 이를 위해 상용 기성품(COTS)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최소 비용으로 구식 부품을 교체하는 D5 수명 연장 프로그램(D5LEP)이 진행 중이다.[25]

6. STARS 프로그램

STARS(전략 표적 시스템, Strategic Target System) 프로그램은 미국 육군 우주 및 전략 방위 사령부(SSDC)가 관리하는 BMDO 프로그램이다. 1985년 전략 방위 구상(Strategic Defense Initiative)을 지원하기 위해 대륙간 탄도 미사일 비행 궤적에서 표적 및 기타 실험을 발사하는 데 사용되는 잉여 미니트맨 I 부스터의 공급이 1988년까지 고갈될 것이라는 우려에 대응하여 시작되었다. SSDC는 샌디아 국립 연구소에 잉여 폴라리스 부스터를 사용하여 대체 발사체를 개발하도록 지시했다. 샌디아 국립 연구소는 STARS I과 STARS II의 두 가지 STARS 부스터 구성을 개발했다.

STARS I은 개조된 폴라리스 1, 2단과 상업적으로 조달된 오르비스 I 3단으로 구성되었다. 단일 또는 다중 탑재체를 배치할 수 있지만 다중 탑재체는 포스트 부스트 차량(post-boost vehicle, PBV)의 작동을 시뮬레이션하는 방식으로 배치할 수 없다. 이러한 특정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샌디아는 PBV 역할을 하는 운영 및 배치 실험 시뮬레이터(Operations and Deployment Experiments Simulator, ODES)를 개발했다. ODES가 STARS I에 추가되면서 이 구성은 STARS II로 알려지게 되었다. STARS 프로그램의 개발 단계는 1994년에 완료되었으며, BMDO는 이 노력에 약 1억 9,210만 달러를 제공했다. 운영 단계는 1995년에 시작되었다. 첫 번째 STARS I 비행(하드웨어 점검 비행)은 1993년 2월에 발사되었고, 두 번째 비행(STARS I 재진입체 실험)은 1993년 8월에 발사되었다.

세 번째 비행(STARS II 개발 임무)은 1994년 7월에 발사되었으며, BMDO는 세 번의 비행 모두 성공적인 것으로 간주했다. 1993년 국방 장관은 국가 방위 전략에 대한 포괄적인 검토를 실시했으며, 이로 인해 국가 미사일 방어(NMD)2 및 BMDO 자금을 지원하는 데 필요한 STARS 발사 횟수가 대폭 감소했다. 발사 및 예산 감소로 인해 STARS 사무국은 STARS 프로그램에 대한 장기 계획 초안을 개발했다. 이 연구에서는 프로그램을 휴면, 종료, 계속하는 세가지 옵션을 검토했다.

STARS 프로그램이 1985년에 시작되었을 때는 연간 4회 발사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예상되는 많은 발사 횟수와 잉여 폴라리스 모터의 불량률을 알 수 없었기 때문에 STARS 사무국은 117개의 1단 모터와 102개의 2단 잉여 모터를 확보했다. 1994년 12월 현재, 향후 발사에 사용할 수 있는 7개의 1단 개조 모터와 5개의 2단 개조 모터가 있었다. BMDO는 현재 미래의 전역 미사일 방어 3 시스템의 개발 테스트를 위한 표적 발사를 위한 잠재적인 장거리 시스템으로 STARS를 평가하고 있다. STARS I은 1993년에 처음 발사되었으며, 2004년부터 지상 기반 요격체 시험의 표준 부스터로 사용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Polaris A1 https://fas.org/nuke[...] 2017-11-26
[2] 서적 Memoirs: A Twentieth Century Journey in Science and Politics https://archive.org/[...] Perseus Publishing
[3] 문서 Friedman, pp. 109–114.
[4] 웹사이트 Navy Office of Information biography on Roderick Osgood Middleton http://www.usslittle[...]
[5] 웹사이트 History of the Jupiter Missile http://heroicrelics.[...]
[6] 뉴스 '"How Much is Enough?": The U.S. Navy and "Finite Deterrence", National Security Archive Electronic Briefing Book No. 275' http://www.gwu.edu/~[...]
[7] 문서 Friedman, pp. 196–197.
[8] 논문 The Polaris 1963
[9] 서적 History of Rocketry and Space Travel https://archive.org/[...] Thomas Y. Crowell Company 1969
[10] 문서 Istvan Hargittai. p. 357. ''Judging Edward Teller: A Closer Look at One of the Most Influential Scientists of the Twentieth Century'' #REDIRECT #REDIRECT
[11] 문서 Istvan Hargittai. p. 358. ''Judging Edward Teller: A Closer Look at One of the Most Influential Scientists of the Twentieth Century''
[12] 문서 Graham Spinardi. p. 30. ''From Polaris to Trident: The Development of U.S. Fleet Ballistic Missile Technology'' #REDIRECT #REDIRECT
[13] 문서 William F. Whitmore, Lockheed Missiles and Space Division (Whitemore 1961, p. 263)
[14] 문서 Graham Spinardi. p. 27. ''From Polaris to Trident: The Development of US Fleet Ballistic Missile Technology'' #REDIRECT #REDIRECT
[15] 문서 Graham Spinardi. p. 28. ''From Polaris to Trident: The Development of US Fleet Ballistic Missile Technology''
[16] 웹사이트 1946:1 https://www.usna.com[...]
[17] 문서 Friedman, p. 183
[18] 논문 The Shaping of Nuclear Weapon System Technology: US Fleet Ballistic Missile Guidance and Navigation: I: From Polaris to Poseidon 1988-08
[19] 웹사이트 Danchik, Robert J., "An Overview of Transit Development", pp. 18–26 http://techdigest.jh[...] 2014-10-22
[20] 서적 The Innovators: How a Group of Inventors, Hackers, Geniuses, and Geeks Created the Digital Revolution Simon & Schuster
[21] 서적 The U.S. nuclear arsenal : a history of weapons and delivery systems since 1945 Naval Institute Press 2009
[22] 웹사이트 Britannica Academic https://academic.eb.[...]
[23] 논문 Fifty Years of Innovation through Nuclear Weapon Design https://www.llnl.gov[...] 2008-11-17
[24] 서적 Ministry of Defence and Property Services Agency: Control and Management of the Trident Programme '[[National Audit Office (United Kingdom)|National Audit Office]]' 1987-06-29
[25] 간행물 Navy Awards Lockheed Martin $248 Million Contract for Trident II D5 Missile Production and D5 Service Life Extension http://www.lockheedm[...] Lockheed Martin Space Systems Company 2018-04-17
[26] 웹사이트 Sandia STARS http://www.designati[...] Designation-Systems.net 2017-01-20
[27] 논문 In American Hands: Britain, the United States and the Polaris Nuclear Project 1962–1968 2005-09
[28] 논문 The British Decision to Upgrade Polaris, 1970–4 2013-05
[29] 논문 Aldermaston and British Nuclear Weapons Development: Testing the 'Zuckerman Thesis' 1997-08
[30] 뉴스 History of the British Nuclear Arsenal http://nuclearweapon[...]
[31] 웹사이트 NATO MLF http://www.airpower.[...] 2010-04-13
[32] 논문 Jupiter Missiles in Europe: A Measure of Presidential Power 1976
[33] 웹사이트 Italian Alfa Program http://www.astronaut[...]
[34] 논문 ポラリス潜水艦就役から半世紀 SLBMと核抑止体制
[35] 논문 ポラリス潜水艦就役から半世紀 SLBMと核抑止体制
[36] 서적 現代世相風俗史年表:1945-2008 河出書房新社
[37] 웹사이트 The History of Solid-Propellant Rocketry:What We Do and Do Not Knows http://www.nasa.gov/[...] 2023-06-19
[38] 웹사이트 FBM Weapon System 101 http://www.ssp.navy.[...] 2023-06-19
[39] 웹사이트 An Investigation Of The Jetevator As A Means of Thrust Vector Control Lockheed Missile & Space Company Inc http://www.dtic.mil/[...] 2023-06-19
[40] 웹사이트 "前向き」な核兵器国―戦略的不確実性の中の英国と核兵器 http://www.nids.go.j[...] 防衛省防衛研究所 2012-11-09
[41] 논문 In American Hands: Britain, the United States and the Polaris Nuclear Project 1962–1968 https://doi.org/10.1[...]
[42] 웹사이트 History of the British Nuclear Arsenal http://nuclearweap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